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시 옛날이야기 중에 '동방삭이 삼천갑자를 산 내력', '동방삭과 숯 씻는 저승차사'가 있었는데 더 어렵고 이해가 안되었던 말씀이 채근담이었는데 나이가 들면서 반짝이는 주옥처럼 귓전에 뇌리에 쏘옥쏙 꽂히는 말씀 읽고 보고 들으며 되새겨 본다
**채근담**은 중국 명나라 말기에 문인 홍자성이 저작한 책입니다. 이 책은 전편 222조, 후편 135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편은 사람들과의 교류를, 후편은 자연에 대한 즐거움을 주로 다룹니다.
채근담에서 '채근'은 나무 잎사귀나 뿌리처럼 변변치 않은 음식을 의미하며, 이는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¹. 이 책은 유교, 도교, 불교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훈을 주는 가르침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채근담은 그 어느 고전보다 쉽고 단순하게 인생의 참뜻과 지혜로운 삶의 자세를 알려주기 때문에 21세기를 살아가는 오늘날에도 꼭 필요한 인생 지침서로 여겨집니다.
**채근담**의 유래는 중국 명나라 말기에 문인 **홍자성**이 저작한 책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채근담에서 '채근'은 나무 잎사귀나 뿌리처럼 변변치 않은 음식을 의미하며, 이는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 홍자성은 자세한 이력 없이 명나라 말 만력 (1573~1619) 시대의 학자로만 알려져 있습니다. 무능하고 부패한 권력, 바닥난 국고 등 이미 멸망의 기운이 감돌던 혼란의 시대에서도 저자는 참다운 사람의 길을 모색했고, 이 책을 통해 자신이 깨달은 인생의 참된 뜻과 지혜로운 삶의 방식을 보여준다.
현재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는 명나라 당시에 출간된 홍자성 (홍응명)의 채근담 판본과 후에 청나라 시대에 재출간한 채근담 판본과 일본에 전해져서 유통된 채근담 판본이 전해진다.
**채근담**은 전편 222조, 후편 135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¹.
- **전편**은 사람들과의 교류를 다루며, 인생의 처세에 대한 지혜와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 **후편**에서는 자연에 대한 즐거움을 표현하고,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풍류를 주제로 합니다.
이 책의 내용은 경구적인 단문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것들은 결코 지루하거나 공자 왈 맹자 왈 하는 책 속의 이야기만으로 그치지 않습니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던 지혜를 일깨워주며, “속세와 더불어 살되 비루함과 천박함에 떨어지지 않게” 도와줍니다¹. 이런 방식으로 채근담은 그 어느 고전보다 쉽고 단순하게 인생의 참뜻과 지혜로운 삶의 자세를 알려주기 때문에 21세기를 살아가는 오늘날에도 꼭 필요한 인생 지침서로 여겨집니다.
도라지라도 한 뿌리 캐면서 향내를 맡아 보기겠습니까?